티스토리 뷰

반응형

메타버스 활용방안 금융업, 유통업, 교육업계 별로 알아보자

메타버스 미래가 어떨지 쉽게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확실한 것은 우리에게 거대한 변화가 오고 있다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우리가 기대하는 메타버스는 우리 신체는 현실세계에 있고 의식은 가상현실에서 실제처럼 경험하는 세상이다. 하지만 여기까지 가기에는 갈길이 멀다. 그러면 메타버스 세상을 기업은 어떻게 준비하고 있을까? 기업들의 메타버스 활용방안을 살펴보면 현재 우리의 위치가 어디까지 왔는지 그리고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금융업, 유통업, 교육업계 별로 메타버스 활용방안에 대해 알아보겠다.

메타버스 활용방안 금융업은 어떻게 준비하고 있는가

은행업무는 아직 사람이 직접 해야 할 것들이 많다. 당장 송금을 잘못했을 때 고객센터로 전화 연결해서 상담원과 통화를 해서 해결해야 하고, 전문가의 의견을 듣고 싶을 때는 은행에 직접 방문해서 전문가의 의견을 듣고 싶어 한다. 그렇다면 왜 금융업은 메타버스에 뛰어들고 있는 걸까? 그것은 변화의 시기에 가장 빠르게 변해왔던 경험 때문이다. 은행은 인터넷 시대가 되었을 때에는 인터넷 뱅킹으로 모바일의 시대가 되었을 때는 모바일 뱅킹으로 빠르게 전환했다. 이미 신한은행이 2018년 SOL AR을 구축했다. 하지만 그때는 너무 초창기라 대중화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시장의 관심과 대중의 이해, 그리고 기술의 발전이 뒷받침되어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금융권에서 메타버스 활용방안에 대해 살펴보자.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해 홍보활동이 가능하다. 20~30대 고객들에게 젊은 금융을 어필할 수 있고, 금융사의 점포를 메타버스 내에서 구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적극적인 고객 유치는 개인정보와 보안 문제로 어려울 수 있지만 홍보활동은 가능하다. 또한 이미 만들어져 있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회의도 가능하다. DGB 금융지주가 제페토를 활용해서 경영진 회의를 열기도 했다. 경영진 모두가 진지하게 새로운 경험을 하고 배우기로 했다는 점, 추진팀에서 이를 이끌어 냈다는 것은 누구보다 먼저 고민하고 앞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메타버스 활용방안 유통업은 어떻게 준비하고 있는가

제페토에서는 나이키, 자라, 명품 브랜드 구찌까지 다양한 브랜드의 옷과 신발을 나의 아바타에 직접 입혀보고 구매할 수 있다. 이런 변화는 제페토가 백화점, 오프란인 매장의 역할을 어느 정도는 대신한다고 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브랜드 외에도 많은 기업들이 젊은 사람들이 즐겨하는 제페토와 제휴를 맺고 전략적으로 의류나 가전, 가구 제품을 큐레이션 하려고 한다. 위와 같은 소극적인 방법 말고 적극적으로 메타버스를 활용하는 방법도 있다. 메타버스 안에 백화점과 마트를 직접 구축하는 것이다. 제페토나 디센트럴랜드에 매장을 내는 것은 비용이 들긴 하겠지만 오프라인 매장에 비해서 훨씬 적은 비용으로 가능하다.

현실세계에서 공간의 제약 때문에 하지 못했던 매장 배치와 서비스 차별화를 메타버스 내에서 고객의 취향에 맞춰서 다양하게 구성하는 것이 충분히 가능할 것이다. 2021년 5월 BGT 리테일은 CU편의점을 제페토 내에 입점시키고 제휴를 맺은 것이 좋은 예가 될 것이다. 실제 CU편의점에서 판매하고 있는 CJ제일제당의 인기상품을 가상현실인 제페토 안에서도 만나볼 수 있다. CU제페토 한강공원점, CU제페토 교실 매점, CU제페토 지하철역점에서는 햇반, 비비고 왕교자 등 4종의 상품을 실제 모습 그대로 구현하였고, 아바타는 실제로 장을 보는 것처럼 상품을 들고 다닐 수 있다. 이처럼 메타버스 활용방안은 다양하다.

메타버스 활용방안 교육계는 어떻게 준비하고 있는가

메타버스 이프랜드에서 2,500여 명의 순천향대 신입생들이 입학식에 참여했다. 이프랜드는 150여 개의 방을 만들고 모든 방에 메타버스 대운동장과 매우 유사하게 만들어서 실제 입학식 느낌을 낼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순천향대 학생들을 위하여 순천향 대학교 과잠바를 만들어서 자신의 아바타에 자유롭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순천향대는 국내 최초로 메타버스에서 입학식을 진행하였는데 이는 언택트 시대에 모범적인 메타버스 활용방안이라고 볼 수 있다. 메타버스를 통해 교육이 활성화된다면 기대할 수 있는 장점으로는 첫 번째, 이동과 공간의 제한이 해결된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글로벌 교육이 가능하다. 각자 자신의 아바타로 지금까지와 차원이 다른 경험과 교육을 받을 수 있다.

메타버스 활용방안은 다양하다

위에서 알아본 금융업, 유통업, 교육계에서의 메타버스 활용방안 외에도 행사 기획 업계에도 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팬더믹으로 인해 오프라인 행사가 취소되거나 줄어들었기 때문에 행사업계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할 이유가 충분하다. 2021년 5월 기획재정부, 문화체육관광부, 과학 기술정보통신부는 '메타버스 TF'를 구성해 발전전략을 논의하기 시작했다. 2021년 6월에는 서울시에서 스타트 업을 지원하는 공간인 '서울창업 허브월드'를 제페토에 오픈하는 등 공공기관은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메타버스가 어렵게만 느껴진다면 가장 흥미로워 보이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하나 가입해 보자. 제페토도 좋고 이프랜드도 좋다. 앱을 다운로드하고 아바타에 옷도 입혀보고 랜드에 들어가 구경도 해보는 것을 적극 추천한다.

댓글